최근 국내 은행권의 정기예금 금리가 다시 연 4%대로 상승하면서 예금 시장이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저축은행들도 발 빠르게 대응하며 4%대 금리를 내세워 수신 경쟁에 나서고 있으며, 일부 새마을금고는 고객 유치를 위해 연 5%대 고금리 상품까지 출시했습니다.
은행 예금 금리 상승의 배경
1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19개 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상품 39개 중 5개가 연 4% 이상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우리은행의 ‘우리 첫거래우대 정기예금’은 기본금리를 0.30%포인트 인상해 최고 연 4.10%의 금리를 제공합니다. SC제일은행의 ‘e-그린세이브예금’과 NH농협은행의 ‘올원e예금’도 각각 최고 연 4.1%와 4.05%의 금리를 기록했습니다.
은행권에서는 지난해 말 기준금리 인상과 수신 경쟁이 겹치면서 정기예금 금리가 연 5%대까지 치솟았지만, 금융당국의 개입과 시장금리 안정으로 올해 초 3%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그러나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상과 코로나19 완화로 은행권 예대율 규제가 정상화되면서 다시 예금 금리 상승 압력이 커졌습니다.
저축은행과 새마을금고의 고금리 경쟁
은행권의 금리 상승에 대응해 저축은행들도 금리를 올리기 시작했습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79개 저축은행의 1년 만기 정기예금 평균 금리는 연 4.03%로 상승했습니다. 일부 새마을금고는 고객 유치를 위해 연 5%대 금리를 내세웠습니다. 파주중앙새마을금고는 최고 연 5.20%의 금리를 제공하며, 서울축산 및 왕십리중앙새마을금고도 유사한 고금리 상품을 출시했습니다.
예금 금리 상승의 여파
연 4% 금리가 적용되면 은행에 1억 원을 예치했을 경우 연이자는 약 400만 원입니다. 세후 수령액은 약 338만 원으로 월 이자는 28만 원에 달합니다. 예치 금액이 2억 원이면 연이자는 약 677만 원, 3억 원은 약 1105만 원으로 증가합니다.
예금 금리가 오르면서 투자처를 찾지 못한 자금이 은행으로 이동하는 ‘역 머니무브’ 현상도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7월 말 기준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832조9812억 원으로, 한 달 사이 10조7070억 원이 증가해 올해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대출자 부담 증가 우려
일각에서는 예금 금리 인상이 은행의 조달 비용을 높이고, 이는 대출 금리 인상으로 이어져 대출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은행 변동형 주택담보대출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 지수는 6월 신규 취급액 기준으로 3.70%를 기록해 전월 대비 0.14%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채 금리 상승과 예대율 규제 정상화로 4% 이상의 예금 상품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며 “예금 금리 인상은 대출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차주들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은행과 저축은행의 치열한 수신 경쟁이 이어지면서 예금자들은 더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을 찾고 있습니다. 반면, 대출자들은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 부담 증가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