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은 누가 만들까요? 아이폰의 뒷면을 보면 “캘리포니아에서 애플이 설계하고, 중국에서 제조되었다”고 적혀 있습니다. 이는 애플이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주문자상표 부착 생산) 방식으로 제품을 제작한다는 의미입니다. OEM은 기업이 제품 설계와 품질 관리를 맡고, 제조 공정만 외주를 주는 생산 방식을 말합니다. 이 방식은 품질과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애플과 나이키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이 방식을 대표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제품의 설계, 디자인, 품질 관리,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주도하지만, 직접 공장을 운영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주로 중국과 같은 생산 비용이 낮은 국가의 공장에서 제품을 제조하며, 자사의 상표를 부착해 판매합니다.
ODM의 등장과 넥서스원의 사례
최근 들어 **ODM(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생산자 개발 방식)**이라는 용어가 점점 주목받고 있습니다. 구글의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넥서스원(Nexus One)**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 스마트폰은 대만의 스마트폰 전문 제조사 HTC가 설계하고 생산한 제품으로, 구글의 상표를 달고 시장에 출시되었습니다. HTC는 스마트폰 분야에서 ODM 방식으로 성장한 대표적인 기업으로, 뛰어난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품 설계와 제조를 책임져왔습니다.
OEM과 ODM의 주요 차이점
OEM과 ODM은 공통적으로 제조사의 상표가 아닌 주문자의 상표가 부착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두 방식은 제품 설계 참여 여부에서 차이가 납니다.
- OEM: 주문자가 설계한 제품을 제조사가 그대로 생산하는 방식.
- ODM: 제조사가 제품의 설계와 개발, 생산까지 책임지는 방식.
ODM 기업은 독자적인 기술력을 갖추고 있으며, 자체 브랜드를 보유한 기업처럼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력을 축적합니다. 하지만 글로벌 시장에서 마케팅 비용 부담이 커서, 주문자의 상표를 활용해 제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 ODM 사례: 팬택의 도전
국내에서도 ODM 방식을 활용하는 기업이 있습니다. 팬택은 일부 모델을 ODM 방식으로 수출하고 있습니다. 팬택은 자체 브랜드로 휴대전화를 수출하는 동시에, 미국 최대 이동통신사 **버라이즌(Verizon)**의 상표를 부착해 제품을 판매합니다. 이는 해외 시장에서 “팬택”이라는 브랜드를 홍보하려면 막대한 마케팅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ODM 기업은 궁극적으로 자체 브랜드를 내세우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HTC 역시 초창기에는 다양한 주문자의 상표를 부착해 스마트폰을 판매했으나, 최근 몇 년 사이 ODM 사업을 축소하고 독자 브랜드로 세계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습니다.
결론
OEM과 ODM은 글로벌 제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OEM은 품질 유지와 비용 절감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ODM은 설계와 제조에 있어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품을 제작합니다. 두 방식 모두 기업의 전략에 따라 선택되며, 기술과 마케팅 비용이라는 도전 과제를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성공 여부가 달라질 것입니다.